1.0x
개요
김치본드는 외국계 기업이나 재외국민이 대한민국 내에서 원화로 발행하는 채권을 일컫는 용어이다. 독특한 명칭은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음식인 김치에서 유래하였다. 이러한 채권이 발행되는 목적은 주로 자금 조달, 투자 유치, 국내 금융 시장 활성화에 있다.
역사 및 배경
김치본드는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외국인의 한국 금융시장 진출 확대와 맞물려 등장하였다. 주로 다국적 기업이나 국제기구, 외국계 금융기관이 원화 기반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했다. 그러나 2010년대 초반 자본 유출입 안정과 외환시장 변동성 관리 등의 목적으로 정부의 제한이 강화되었다.
발행 방식과 특징
김치본드는 외국인이 발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 내 일반 회사채나 금융채와 차별화된다. 발행자는 원화로 상환 책임을 지며, 투자자는 이자를 포함한 수익을 원화 기준으로 받는다. 일반적으로 김치본드는 해외 투자자들이 원화 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창구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자본시장의 국제화를 앞당기는 역할을 한다.
시장 영향 및 중요성
김치본드는 국내외 자본시장 연계 강화, 원화 국제화, 국내 채권시장 유동성 제고에 기여해왔다. 또한 외국인 투자 확대와 규제 변화에 따라 시장 규모와 성격이 변동되어왔다.
규제 및 최근 변화
발행 제한이나 투자 규제는 한국 정부의 외환 정책 및 금융 안정 조치에 따라 변화해 왔다. 최근 몇 년 사이에는 원화 채권 시장의 안정성과 국제화 요구가 커지면서 관련 규제가 다시 완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Comments
No comments yet. Be the first to comment!